- 홈
- 시각장애이해
- 시각장애란
- 원인
원인
선천적인 원인
유전, 선천성 기형, 부모의 전염병 감염 등
후천적인 원인
교통사고, 산업재해, 전상 등의 외상과 감염, 약물중독, 퇴행성안질환, 기타 전신질환에 의한 합병증 등
실명의 주요원인
녹내장 | 안압이 병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시신경이 압력을 받아 시력이 약해진다. 녹내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안압에 의하여 시신경이 압박을 받아 주변시야가 좁아드는 이른바 터널시야가 나타나기도 한다. |
---|---|
백내장 | 눈의 수정체가 흐려져 눈동자 속이 희게 보인다.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정지성이며, 후천성 백내장의 대부분은 진행성으로 나타난다. 외상, 당뇨병, 노인성 백내장을 비롯하여 녹내장, 망막색소변성 등 다른 눈 조직의 질환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. 초기에는 실밥과 같은 작은 점들이 둥둥 떠다니는 것과 같은 증상으로 알 수 있으나 진행에 따라서 안개 속에서 물건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자각하게 되며, 점차로 시력이 약해져 멀거나 가까워도 보기 힘들게 되고 더욱 진행되면 나중에는 명암만을 알게 되고 실명상태로 된다. |
시신경위축 | 시신경은 손상을 입기 쉬우며, 한번 파괴되면 재생기능이 없기 때문에 치유되지 않고 변성이 되어버린다. 원인은 뇌하수체종양, 매독, 중독, 녹내장, 유전 등이다. 이는 시신경세포가 산소부족이 되어 변성 및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, 시신경위축이 되면 시력저하는 물론이고 심하면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. |
당뇨병성망막증 | 당뇨병의 특징적인 혈관장애가 망막에 발생되고, 심하면 실명하기도 하는 심각한 당뇨병의 합병증 중 하나이다. 고혈당의 상태를 5년 이상 방치하면 서서히 망막의 모세혈관에 출혈로 인한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당뇨환자는 망막 상태를 자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|
미숙아망막증 (수정체후섬유증식증) |
주로 출생 시 체중이 매우 적은 아기들에게 생기는 병으로, 눈의 뒷부분에 물체를 보는 막 조직인 망막을 못 쓰게 하는 병이다. 나쁜 신생혈관이 생기고 상처조직이 생기는 이 병은 아기 눈의 애기 동자(동공)를 하얗게 만들 정도로 심하게 되어서 발견될 수도 있지만, 대개는 안과전문의사의 면밀한 진찰로 발견된다.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하여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미숙아, 호흡기관의 병, 빈혈, 심장의 병, 뇌 속의 출혈 등으로 의심해볼 수 있다. |
녹백색증 (알비니즘) |
색소 결핍 또는 신체의 멜라닌 색소 감소가 함께 나타나는 유전성 질환이다. 흰 머리, 흰 피부를 가지며 홍채, 동공은 적색을 띠며 강한 햇빛이나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심한 화상을 입기도 한다. |
황반변성 | 유전성과 노인성으로, 망막 중심부와 황반부에 발병하여 암점이 나타난다. 특수한 치료법이 없으며, 진행성으로 심각한 시각장애를 초래하며 색각, 대비, 민감도에 영향을 미친다. |
망막색소변성 | 망막의 시신경세포 중 흑백 및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(rod cell)의 수가 점차로 줄어드는 질환으로 결국에는 모든 시세포에 장애를 일으킨다. 초기에 야맹증이 나타나고, 점차 시야가 좁아 보이는 시야의 협착이 진행되며, 백내장, 녹내장, 원추각막, 근시 등이 동반될 수 있다. |